목록아리산 (8)
쉼. 먼지 맛 담배 한모금
1987년 6월 항쟁 이후에 민중들은 모든 것을 민주화시켰다고 너무 일찍 삼페인을 터뜨렸다. 6/29 만우절 행사에 모두가 속은 것이다. 그 이후에 독재와 군사정권의 세력들은 자본을 등에 업고 언론을 선두로 세워 끝도 없는 작업으로 사람들을 평화롭고 자유로운 생활 안에 자본에 목 매게 만들었다. 대중은 윤리와 도덕 감각을 잃고 민족 역사 의식도 구차한 주제로 밀어버리고 자본축적=성공이라는 한국판 탈무드를 세대를 거쳐 가르친다. 자본, 재화, 소유 이외의 모든 것들은 무엇을 선택하던 부차적인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대단한 전략과 전술이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언론과 자본이 만들어낸 괴물 삽질 대통령이다. 너무 빨리 잔치를 벌였다. 어둠을 지나 새벽이 왔기에 기뻐해야할 일이긴 하지만 새벽을 여는 아침..
10월초에 다녀왔는데 지금에서야 카메라 메모리를 옮겼다. 필름카메라보다도 더 늦었구나... 그러고 보면 사람마다 다른 것이지 기계마다 다른 것은 결코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 손에 쥐어진 것이 같은대도 사람답지 않는 일을 하는 것은 쥔 것에 의해서 그 사람이 지배당하기 때문이다. 당신은 무엇을 쥐고 있는가? 권력, 돈, 건강, 음식, 책, ... 자신이 쥐고 있는 것이 되려 자신의 자유롭지 못하게 한다는 것 잊지 말자. 새들은 자신이 먹을 만큼만 먹을 뿐 두 발 가득 움키지 않는다. 바로 그것이 그들을 날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아리산 높은 곳에서 폴짝거리던 까치같은 녀석이 나에게 알려준 자유의 법칙이다.
사진기 안에는 과거가 담겨 오늘 그 길을 다시 달린다. 하지만 오늘 생각해보면 고정된 길만을 달리는 그 삶은 자본에 목매고 사는 사람을 닯았다. 그래서 싫고 싫다. 달리는 녀석을 준비도 없이 손대중 눈대중으로 때려 찍은 '흑''백'사진

아리산에서 깨달았지만 시간이 존재했던 만큼 변치 않아 온 진리 크기와 종류가 다양하지 않으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 거대함과 억압적 지배는 결국은 그 종국을 앞당긴다는 것 보라 사람이 드나들 정도로 성장한 거목과 사람들 눈에 띄지 않을 정도의 작은 이끼가 함께 살지 못한다면 자연이 아니고 그래서 오래가지 못한다. 이 자연의 논리는 경제에도 정치에도 문화에도 종교에도 ... 예외없이 적용된다. 알려주고 싶다. 그런데 순서는 작은 것에서 시작한다는 것 또한

해가 떳다. 순식간에 온 세상은 바뀐다. 그렇게 어둠에서 벗어나길 모두가 바라고 있다. 어둠은 지배가 아니라 그저 밝음의 부재를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빛 안에서는 자신의 존재만큼만 그림자를 드리우지만 그것을 어둠이라 부르지 않는다. 이는 부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현재함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해발 2500미터 고산증이 시작되는 높이... 라지만 필요한만큼은 있나보다. 한밤을 뚫고 온 기차길을 둘러 위에서 바라본 산에서 그 안 숲으로 들어간다. 장대를 꽂아놓은 듯 한 나무숲을 거닐었다.

한낮이면 머리꼭대기로 뜨는 해를 매일 보고 있자니 마치 전자레인지 속에 앉아있는 기분 피서 정말 이 섬에서 가능할까 대만에서 꼭 가봐야 한다는 두곳 1. 아리산(阿里山) 2. 화련(花蓮) 그 중 하나를 가보자. 수많은 사람들이 얘기하고 공부하는 책에도 나오는 산 아리산을 가보자. 어떻게 가나? 일단 가의(嘉義 : 자이m, 가기t)로 가자. 가면 있단다. 가의 도착해서 산악열차표를 끊으러하니 아리산 안 간단다. 이런 중간까지만 간단다. 기차타고 3시간 넘는데 중간 내려서 걸어? 버스 알아본다. 마지막 차가 오후 2시10분이란다. 휴~ 버스타기 전에 아직까지 오늘 제대로 먹은게 없구나. 햄버거라도 먹자. 이 섬 유명한 건 우리나라 롯데리아처럼 MOS 버거가 유명하다. 난 처음이긴 하지만 맛나다. 더 좋다. ..